<목차>
1. 바이패스 소자
2. 역류방지 다이오드
3. 접속반
4. 수배전반
5. 축전지
6. 뇌서지
바이패스 소자
태양광 모듈의 셀에 음영이 생길 경우 해당 셀은 발전하지 않으며 저항이 높아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직렬로 연결된 모든 전압이 해당 셀에 인가되고 발열이 생기는데요 이때, 셀이 파손되는 현상인 핫스팟 또는 열화 현상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바이패스 소자를 설치해야 합니다.
바이패스 소자는 스트링의 Vmpp의 1.5배 이상인 역내압을 가집니다. 대부분의 모듈에는 바이패스 소자가 내장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정션박스 내부에 설치하게 됩니다.
역전류방지 다이오드
태양광 어레이에 병렬회로를 구성할 경우 출력전압의 불균형이 발생하여 전류의 불균형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불균형 전압이 일정 값 이상이 된다면 다른 스트링에서 전류를 공급받아 역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설비에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각 스트링마다 역전류 방지 다이오드를 설치하게 됩니다. 해당 소자 역시 모듈후면의 정션박스에 부착되어 있습니다.
접속반
접속반은 태양광 모듈이 연결된 스트링을 하나의 접속점에서 모아 인버터로 연결하는 설비입니다. 전체 회로 중간에 설치되어 점검 시 회로를 분리하거나 점검을 편리하게 만들어주기 때문에 점검이 용이한 장소에 설치하게 됩니다.
- 태양전지 어레이 측 개폐기: 태양전지 어레이 측 개폐기는 태양전지 어레이의 점검, 보수 시 또는 일부 태양전지 모듈에 이상이 생겼을 때, 회로에서 이상부분을 분리하기 위해 설치합니다.
- 주개폐기: 태양전지 어레이의 출력을 한군데로 모은 후 인버터와의 회로 중간에 삽입합니다. 주 개폐기의 선택은 태양전지 어레이의 최대 사용전압, 통과전류를 만족하는 것으로써 최대 통과전류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합니다.
- 피뢰소자: 뇌서지가 태양전지 어레이 또는 인버터 등에 침입한 경우에 이러한 기기 또는 장치를 뇌서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설치합니다.
- 단자대: 일반적으로 태양전지 어레이의 스트링마다 배선을 접속함까지 끌고와 연결할 수 있도록하는 부분입니다.
수배전반
수배전반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발전된 전기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고 분배하기 위한 패널입니다. 수배전반은 태양광의 안정성과 성능을 보장하며, 발전된 전기를 한전계통으로 보내거나 소내소비용 전원을 공급받도록 계통연결이 가능합니다.
축전지
축전지는 태양광발전시스템이 계통에 연계되었을 때 계통전압 안정화를 위해 활용되는 설비입니다. 독립형 전원시스템의 경우 거의 대부분이 축전지를 설치하게 되며, 발전량 부족 시, 야간 일조가 없을 때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게 됩니다.
뇌서지
뇌서지는 어레이 주회로 내부에 분산시켜 설치하며 접속함에도 설치하게 됩니다. 저압 배전선에서 침입하는 뇌서지의 경우 분전판에 피뢰소자를 설치하지만 뇌우 다발지역의 경우 교류측으로 내뢰 트랜스를 설치하게 됩니다.
- 어레스터: 낙뢰에 의한 충격성 과전압에 대하여 전기설비의 단자전압을 규정치 이내로 저감시켜 정전을 일으키지 않고 원상태로 회귀하는 장치
- 서지업서버: 전선로에 침입하는 이상 전압의 높이를 완화하고 파고치를 저하시키는 장치
- 내뢰 트랜스: 실드 부착 절연 트랜스를 주체로 이에 어레스터 및 콘덴서를 부가시킨 설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