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이슈

서울시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 기후동행카드 출시(월6만5천원에 버스 지하철 무제한 승차)

by 빙그레. 2023. 9. 12.
반응형

서울시 기후동행카드 출시
서울시 기후동행카드 출시

목차

    서울시 기후동행카드 출시

    서울시에서 내년 1~5월 쯤 친환경 교통혁신을 위해 월 6만 5천원에 무제한으로 대중교통 및 따릉이를 이용할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를 출시한다고 밝혔습니다. 가계의 부담을 덜고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으로 대중교통 수단분담률을 올리기 위한 단초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서울시 기후동행카드 보도자료
    서울시 기후동행카드 보도자료

    이미 독일에는 49유로 티켓(D-Ticket)이라 불리는 대중교통을 매달 49유로에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정기권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사례를 벤치마킹하여 상반기에 시범운영을 거친 뒤 하반기에 본격 시행할 예정입니다.

    대중교통 수단분담률
    대중교통 수단분담률

    코로나19로 인해 대중교통 사용량이 감소하고 승용차 이용이 증가함에 따라 탄소배출량이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후동행카드라는 이름을 붙여 대중교통 수단분담률을 끌어올리겠다는 것이 주요 목적입니다.

    기후동행카드 세부사항

    기후동행카드는 월 6만5천원으로 구매한 뒤 한달동안 서울 권역내의 지하철, 시내버스, 마을버스, 따릉이 등 대중교통수단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실물카드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앱으로도 이용할 수 있으며 실물카드는 최초 3천원으로 구매한 뒤 충전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후동행카드 세부사항
    기후동행카드 세부사항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에서 시행하는 서비스인만큼 서울 지역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경기도에서 서울로 이동하는 노선의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하지만 서울 시내에서 승차할 경우에는 경기도로 이동하더라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즉, 서울 시내를 왕복하거나 서울에서 경기도로 넘어가는 경우에만 혜택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 서울시내에서 승, 하차하는 지하철 1~9호선, 경의중앙선, 분당선, 경춘선, 우이신설선, 신림선 모두 이용 가능
    • 서울이 아닌 지역에서 승차하는 경우에는 사용 불가
    • 서울 시내버스, 마을버스는 모두 이용 가능하나 타 지역 버스 또는 광역버스는 서울 시내라도 이용 불가
    • 공공자전거 따릉이는 1시간 이용권을 무제한으로 사용 가능

    기후동행카드 이용사례
    기후동행카드 이용사례

    반응형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까?

    기후동행카드는 기본적으로 서울 시내에서 출퇴근을 하는 직장인 또는 학생에게 매우 유리한 카드입니다. 만약 경기도와 서울을 오고가며 출퇴근한다면 한번밖에 혜택을 적용받지 못하기 때문에 반쪽짜리 혜택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버스요금
    버스요금

    버스 요금 1500원을 기준으로 한달 22일 출퇴근을 한다고 가정해봤을 때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하지 않는다면 매일 3천원의 버스 요금으로 한달이면 6만6천원 정도가 대중교통 요금으로 나가게 됩니다. 해당 금액만으로도 이미 기후동행카드 비용인 6만5천원을 초과하며 주말에 추가로 대중교통을 이용한다면 매우 합리적인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만약 경기권에서 서울로 출퇴근 또는 서울에서 경기권으로 출퇴근을 한다면 대략 3~4만원 정도 추가 요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한달로 놓고 본다면 그리 큰 금액은 아니지만 장기적으로 생각해본다면 대중교통요금을 꽤나 절약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기후동행카드 출시 일정

    기후동행카드는 2024년 1월에 출시되어 5월까지 시범 운영될 예정입니다. 월단위로 충전이 지원되며 24년 5월 말까지 충전할 수 있으며 해당 기간이 지난 뒤 보완을 거쳐 24년 하반기에 본격적으로 시행될 예정입니다.

    기후동행카드 예정일
    기후동행카드 예정일

     

    반응형

    댓글